목록풀이 (14)
디필의 요모조모
1. 파일 입출력과 관련된 함수를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input(), read(), readline(), print(), write(), writeline(), readlines() 2. 파일을 열고 한 줄 읽어서 출력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inFp = open("C:/Temp/data1.txt", "r", encoding = "utf-8") inStr = inFp.readline() print(inStr, end = "") inFp.close() 3. 파일의 내용을 통째로 읽어서 리스트에 저장한 후 리스트의 내용을 하나씩 추출해 출력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inFp = open("C:/Temp/data1.txt", "r", encoding = 'utf-8') inList = i..

1. 300 x 300 크기의 윈도창을 만들고, 윈도창의 크기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코드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보기에서 골라 넣으시오. resizable, geometry, mainloop from tkinter import * window = Tk() window.title("윈도창 연습") window.geometry("400x100") window.resizable(width = FALSE, height = FALSE) window.mainloop() 2. 버튼을 클릭하면 func1() 함수가 호출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myBtn = Button(window, text = "파이썬 종료", fg = "red", command = func1) 3. 버튼 5개를 수직으로 정렬하는 코드..

1. 함수를 설명한 것으로 맞는 내용을 모두 고르시오. ① 한 번 만들어 놓으면 호출만 하면 된다. ② 내부의 작동을 신경 쓰지 않는다는 의미로 블랙박스라고도 한다. ③ 커피 자판기는 함수의 좋은 비유이다. ④ 함수는 여러 번 호출하는 것보다는 한 번만 호출해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 두 수를 더해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def sum(v1, v2): result = 0 result = v1 + v2 return result 3. 2번의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① hap = sum() ② hap = sum(10) ③ hap = sum(10 20) ④ hap = sum(10, 20) ⑤ hap = sum(10 : 20) 4. 함수의 반환값과 관련된 내용 중 틀..

1. 문자열을 추출하는 코드이다. 출력 내용을 예측하시오. ss = 'Python' print(ss[0]) P print(ss[1:2]) y print(ss[-3:-1]) ho print(ss[3:]) hon 2. 다음 문자열이 있을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ss1 = 'Python' ss2 = 'Good' ① ss1 + ss2 ② ss1 - ss2 ③ ss1 * 3 ④ ss1 / ss2 3. 문자열의 중간마다 $를 끼워 넣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ss = 'Python' for i in range(0, len(ss)): print(ss[i] + '$', end = '') 4. 문자열을 반대의 순서로 출력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inStr, outStr = "Python"..

1. for 문의 기본 형식을 참고해 빈칸을 채우시오. 시작값, 증가값, 끝값, 끝값+1 for 변수 in range(시작값, 끝값+1, 증가값): 이 부분을 반복 2. 다음 코드에서는 몇 번 출력되는지 예측하시오. for i in range(1,100,1): print("파이썬 완전 꿀잼이에요~~. ^^") 99번 3. 100부터 200까지 2의 배수만 더하는 프로그램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i, hap = 0, 0 for i in range(100,201,2): hap = hap + i print("100부터 200까지 2의 배수 합계 : %d" % hap) 4. 다음 코드에서는 몇 번 출력되는지 예측하시오. for i in range(1,10): for k in range(1,10): pr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