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Full view (72)
디필의 요모조모

1. 설명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적합한 단어를 쓰시오. 데이터베이스은/는 대량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해 놓은 것 정도로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은/ 는 여러 사용자나 시스템이 서로 공유가 가능해야 한다. 그리고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는 이런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해 주는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2.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이다.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을 모두 고르시오. 계단형 DBMS, 망형 DBMS, 관리형 DBMS, 객체지향형 DBMS, 객체관계형 DBMS 3. 설명하는 내용을 보기 중에서 고르시오. 데이터,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DBMS, 열 이름, 데이터 형식, 행, SQL ① 사용자와 DBMS가 소통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SQL ② 회원 테이블의 회원이름..

이번엔 학교에서 과제로 내기 위해 열심히 만들었던 프로그램을 한 번 올려볼까 합니다 ㅋㅋ 학교에서 팀 프로젝트로서 만든거지만 대부분... 이 아니라 프로그램 자체는 제가 혼자 다 만든 거라 정이 아주 많이 든 녀석이랍니다 ㅎㅎ 주제가 자유주제인데다가 수업에서 배우지 않는 랩뷰의 기능도 사용해 만드는 프로젝트라 처음엔 고민을 많이 했었어요. 거기다가 창의력마저 없어서 주제를 정하는 것부터가 난관 그 자체... 그래서 고민고민하던 결과 마침 당시 제가 롯데시네마에서 알바를 하던 중이어서 영화 관련해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마침 티켓 무인발권기가 괜찮을 것 같아서 그걸로 진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ㅋㅋ 서론은 여기까지 하구.. 이제 본격적으로 제가 만든 프로그램을 소개해 드리겠..

이번엔 예전에 만들었던 랩뷰 계산기 프로그램을 올려볼까 해요! 간단한 사칙연산 밖에 못하는 데다가 마우스로 일일이 클릭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하지만 나름대로 이것도 열심히 만들었던 프로그램이니 한 번 올려 볼까 합니다! ㅎㅎ 일단 이게 완성된 프로그램의 프론트 패널 모습이에요. 상당히.. 심플하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다음으로 볼 건~~ 요건데요? 프론트 패널 생긴 건 단순하게 생겨놓고선 블록 다이어그램 화면은 생각보다 좀.. 뭔가 많네요 ㅎㅎ 하지만 실제로 하나하나 따지고 들어간다면 그렇게 어려운 프로그램은 아니니 너무 걱정하진 마세요! ㅋㅋ 그리고 이건 While 루프 속에 있는 이벤트 케이스의 내용물들입니다~ 뭐 저렇게 많기는 해도 거의 다 복사 붙여 넣기 형식으로 비슷비슷..

1. 다음 중 클래스의 정의로 옳은 것은? ① 파이썬에서만 제공되는 특별한 기능이다. ②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이다. ③ 클래스와 필드는 동일한 용어이다. ④ 클래스 안에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메서드라고 한다. 2. 자동차 클래스를 생성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class Car : color = "" speed = 0 def upSpeed(self, value) : self.speed += value def downSpeed(self, value) : self.speed -= value 3. 인스턴스의 색상과 속도를 출력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class Car : color = "" speed = 0 myCar1 = Car() myCar1.color = "빨강" ..
1. 파일 입출력과 관련된 함수를 보기에서 모두 고르시오. input(), read(), readline(), print(), write(), writeline(), readlines() 2. 파일을 열고 한 줄 읽어서 출력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inFp = open("C:/Temp/data1.txt", "r", encoding = "utf-8") inStr = inFp.readline() print(inStr, end = "") inFp.close() 3. 파일의 내용을 통째로 읽어서 리스트에 저장한 후 리스트의 내용을 하나씩 추출해 출력하는 코드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inFp = open("C:/Temp/data1.txt", "r", encoding = 'utf-8') inList = i..